반응형 전체 글33 24.10.23 엔비디아 주식 1주 매수 너무 올라버려서 구매를 망설인지 오래되었다. 다시 주식에 비중을 늘리기 위해 하락장일 때 현재가 보다 2달러 낮춰서 걸어놨는데 체결 되었다. 139.0000에 1주 매수되었다. 보유수량 : 91개평균단가 : 28.2445현재가 : 139.5600수익률 : 394.11 2024. 10. 24. DB손해보험 연금보험 해지 환급액 / 연금보험 해지 후 세제정산 연금보험에서 약관대출을 받고 높은 금리로 이자를 납부하는 게 시간이 지날수록 손해라는 생각이 들어서 오늘 연금보험을 해지했다. 상담사분께서 연금보험 해지 후 세제정산 관련해서 내용을 설명해 주시는데 세금무식자는 무슨 소린지 도통 모르겠다. ㅠㅜ 안내문자 보고 하나씩 확인해서 무작정 따라 해보자. [내가 가입했던 연금] 납입금액납입기간연금개시최종납입해지일DB손해보험 스마트연금보험 1106100,000원12년62세부터 8년간23년 9월 최종납입24년 10월연금저축미래로보험 1008100,000원10년55세부터 5년간20년 12월 최종납입24년 10월 *스마트연금보험 약관대출금액 : 10,510,000원(4.25%)*미래로보험 약관대출금액 : 11,520,000원(4.29%)* 환급금액이 뭐가 어떤 건지 까먹.. 2024. 10. 24. 등산하다 발/발목 접질리면(삐면) - 1일차, 2일차 24. 9. 29. 사건 당일아~주 오랜만에 무등산에 등산을 하러 갔다. 등산은 3년 동안 수도 없이 다녀서 나름 가벼운 마음으로 중머리재를 거쳐 중봉까지 올라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힐링을 했다. 그리고 하산길... 뒤에서 등산객 아저씨가 스틱을 무섭게 찍으며 쫓아오듯 내려오신다. 원래 페이스 말리는 편도 아니고 이럴 경우 먼저 보내고 천천히 내려오는데, 그날따라 마음이 급해져 페이스가 말리고 먼저 보내지도 못하고 고민하던 찰나 엇! 찌릿! 윽... 발이 꺾였다. 너무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라 어느 방향으로 접질렸는지 기억이 안 나지만 발목을 잡아주는 등산화를 신고 있어서 앞뒤로 꺾였을 것 같다. 뒤에 아저씨는 자기가 빨리 내려와서 미안하다고 하신다. ㅠㅠ 쉬다 내려오라 하시고 내려가신다.. 별 통증이 .. 2024. 10. 1. 숏폼 전성시대 인가의 주의력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자산의 2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와 100명이 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뇌파 측정 연구를 종합해서 발표한 결과가 굉장히 재미있습니다. 인가의 주의력이 금붕어의 평균 지속 시간 9초보다 짧은 8.2초가 나왔다고 합니다. 다른 결과도 마찬가지입니다. 과학자들이 학생들 컴퓨터에 추적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봤더니 미국 10대들은 1가지 일에 65초 이상 집중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노트북으로 숙제를 하다가 핸드폰으로 친구의 인스타그램에 들어갔다가 dm도 확인하고 동시에 유튜브에 가서 좋아하는 영상을 보다가 다시 노트북으로 돌아와서 숙제하는 사람들이 생겼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리뷰스'라고 하는 리서치 회사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미국인의 하루 평.. 2024. 9. 26. 인플레이션과 컨슈머 트렌드, 매스 프리미엄과 호퍼 쇼퍼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의 중요한 지표로 삼는 근원.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가 2024년 3월에 2.8% 상승했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인플레이션이 2% 를 향해 낮아질 것이라고 확신하는데 더 오래 걸릴 수 있다며 연내 금리 인하가 여의치 않음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평범한 미국인들은 고물가에 신음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상황 속 이전과 다른 새로운 트렌드 양상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고물가가 고착화될 조짐이 나타나면서 기업들도 일반 시민들도 이에 적응하려는 현상이 유통 현장에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물가 상황 속 유통공룡 기업인 월마트가 선택한 새로운 전략은 매스 프리미엄 입니다. 매스 프리미엄은 대중이라는 의미의 매스와 명품이라는 의미의 프리미엄을 조합한 마케팅 용어로 가격은 높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2024. 9. 24. 출산율 감소로 인한 노동인구절벽의 숨은 진실 인구변화가 우리 경제에 가져올 것으로 우려하고 있는 중요한 충격가운데 하나는 노동인구 절벽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우려의 주된 근거의 하나는 장래 생산연령인구의 감소입니다. 2023년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 중위전망치에 따르면 15세~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72년까지 2022년 수준의 45%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산연령인구가 50년 이내에 절반 이상 줄어드다는 전망은 많은 전문가와 정책 당국자로 하여금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경제성장률 저하를 걱정하게 만드고 있습니다. 노동력 확충을 위해 정년을 연장하고 이민자를 대량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은 부분 여기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그러나 생산연령인구는 노동인구 규모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지표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15세 이상이라고 해도 교육 등.. 2024. 9. 23. 이전 1 2 3 4 ···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