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정보통신)&이슈&트렌드/이슈&트렌드

숏폼 전성시대

by 고찌에요 2024. 9. 26.
반응형

인가의 주의력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자산의 200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와 100명이 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뇌파 측정 연구를 종합해서 발표한 결과가 굉장히 재미있습니다. 인가의 주의력이 금붕어의 평균 지속 시간 9초보다 짧은 8.2초가 나왔다고 합니다. 다른 결과도 마찬가지입니다. 과학자들이 학생들 컴퓨터에 추적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봤더니 미국 10대들은 1가지 일에 65초 이상 집중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노트북으로 숙제를 하다가 핸드폰으로 친구의 인스타그램에 들어갔다가 dm도 확인하고 동시에 유튜브에 가서 좋아하는 영상을 보다가 다시 노트북으로 돌아와서 숙제하는 사람들이 생겼다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리뷰스'라고 하는 리서치 회사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미국인의 하루 평균 휴대폰 확인 횟수가 114번이라고 합니다. 이걸 계산해 보면 10분마다 뭘 하다가 휴대폰으로 뭐 왔나 계속 확인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점점 복잡한 환경과 다양한 콘텐츠가 많아지면서 주의가 분산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짧은 주의력으로 인해서 기업들이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산업 전체가 변하고 있습니다. 특ㅎ, 주의력이 짧아진 만큼 짧아진 주의력에 맞춰서 만들어진 콘텐츠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숏폼 콘텐츠입니다. 데이터분석 업체 센서타워 발표에 따르면 북미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 앱 매출 순위 탑 10에 디즈니플러스, HBO, 넷플릭스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예전에는 월화드라마, 수목드라마가 있었는데 지금은 거의 없어졌습니다. 점차적으로 사람들이 우리 드라마를 보지 않으니 수지타산이 안 맞는 겁니다. 숏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소비자들이 휴대폰을 통해 영상을 볼 때 긴 걸 보지 않습니다. 지금은 숏폼전성시대입니다. 72초 TV라는 건 한 회당 72초 분량의 드라마를 제작한 회사가 있었습니다. 모바일을 통해서 영상을 보다 보면 여러분들이 어떤 시간대 보는지가 모바일을 통해서 정보가 획득 가능합니다. 넷플릭스 드라마를 보시면 60분 드라마를 찾기가 힘듭니다. 이미 2019년도부터 각 에피소드가 12분에서 17분 사이에 있는 드라마들을 많이 테스팅했습니다. 2021년도에는 짧은 시간 내에 소비 가능한 스낵커블 콘텐츠 서비스를 해주고 있습니다. 우리가 SNS 상에서 흔히 보는 콘텐츠들도 짧아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소셜미디어계의 15초 전쟁을 일으키면서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를 탄생시킨 장본인이 틱톡입니다. 틱톡은 중국의 바이트댄스에서 출시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입니다. 1분 미만의 숏폼 콘텐츠에 특화되었습니다. 이게 성공한 이유는 지금 소비자들은 일방향적으로 남의 콘텐츠를 보는 걸 좋아하지 않습니다. 자기가 직접적으로 콘텐츠를 만들어서 올리고 싶은데 유튜브는 10분짜리 콘텐츠를 만들고 편집하는 게 부담스럽습니다. 하지만 틱톡은 짧게 나만의 콘텐츠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 챌린지라고 하는 열풍을 틱톡이 만들었습니다. 듣는 노래도 짧아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대부분 노래들이 4분 5분 했지만 빌보드 HOT 100 차트에 오른 노래는 2013년에 3분 50초, 2018년 3분 30초로 짧아졌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2분 30초 이하 노래 비중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비비의 밤양갱도 2분 26초 밖에 되지 않습니다. 주의력이 짧아지는 건 무조건 나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주의력이 짧아진 만큼 지금 젊은 10대 20대는 멀티태스킹 능력에 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상을 보면서 동시에 친구랑 통화를 하고 동시에 뭔가 검색을 할 수 있는 애들이 등장한 것입니다. 기업들은 짧아진 형태의 콘텐츠를 만들고 있습니다. 숏폼 콘텐츠의 미래는 더욱 밝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소비할 수 있는 형태의 콘텐츠들의 숫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간의 시간은 24시간으로 한정되어 있는데, 24시간 동안 봐야 할 콘텐츠들이 많이 늘어난 것입니다. 동시에 지금 디지털 네이티브들은 남의 영상을 일방향적으로 보는 게 아니라 직접 참여하길 원합니다. '나도 저 정도 영상은 만들 수 있겠는데'라는 생각이 들도록 만드는 영상이 어떻게 보면 더 인가기 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중요한 것은 짧지만 더 나은 콘텐츠를 만드는 것입니다. 틱톡도 결국에는 짧은 영상을 모아서 성공한 게 아니라 챌린지라고 하는 콘텐츠 형태로 성공한 것입니다. 누구라도 짧은 콘텐츠를 재밌는 방식으로 직접 올릴 수 있는 기능을 넣었기 때문에 성장한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