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CT(정보통신) 공부/ICT 이슈13

K-콘텐츠 마케팅, 한류 4.0 시대 최근 K-콘텐츠가 드라마, 영화, 음악 등 콘텐츠 산업 전반에 포괄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확산되고 있습니다. 한류의 진화와 함께 K-콘텐츠 유통을 위한 플랫폼도 주로 방송을 통한 콘텐츠 유에서 다양한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유통으로 변화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K-콘텐츠 마케팅 전략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한국과 관련한 것들이 현지의 기호에 맞게 상품으로 재탄생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류 현상은 계속 변화하고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류의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면 먼저 한류 1.0 시기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로 구분할 수 있고, 드라마 등과 국내 1세대 아이돌인 HOT 등이 주로 중국 등을 중.. 2024. 3. 25.
아마존웨이 컬처덱 아마존 웨이가 책으로 발간된 것은 2014년 이 책의 내용은 아마존이 현재까지 지키고 있는 원칙, 그 자체입니다. 목차가 14개입니다. 각각의 핵심문장에 해당하는 사례와 경영전략을 덧붙이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컬처덱은 서사형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마존 웨이는 딱딱한, 그러나 꼭 필요한 명령형 문장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이 말하는 리더란 아마존 구성원 모두를 의미합니다. 자기 자신을 이끌고 세우는 셀프리더십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에 지원할 때부터 아메 존 웨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하고, 면접에서 철저하게 검증됩니다. 실무에서도 가치 판단을 하거나 의사결정을 할 때 이 리더십 원칙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실제 내용은 추상적입니다. 아마존의 리더십 원칙은 행동 강령에 가까운 느낌입니.. 2024. 3. 22.
중국 플랫폼의 미래(알리페이, 앤트그룹, 디디추싱, 알리바바, 타오바오, 위챗, 메이트완) 플랫폼 비즈니즈란 단어의 시작은 미국이었습니다. 그런데 중국이 또 하나의 플랫폼 강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국의 플랫폼과 중국의 플랫폼을 비교해 보면 크게 3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중국은 플랫폼의 후발 주자이고, 개발 도상국가이기에 플랫폼의 발전의 중심은 상거래와 소통, 이동 그리고 즐기는 콘텐츠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미국처럼 검색으로 대표되는 지식이나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공유는 상대적으로 약하고, 삶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영역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경제성장의 단계가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하루에 수십억 개의 오더를 처리하는 타오바오가 존재하고, 10억 명의 생활과 커뮤니케이션을 책임지는 위챗이 존재합니다. 바이두라는.. 2024. 3. 21.
휴리틱스 오류 개선, 추천 알고리즘 휴리스틱은 새람들이 빠르게 판단을 내리거나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데 사용하는 규칙, 혹은 노하우를 말합니다. 과거 자신의 주관적 경험이나 통용되는 상식 등을 활용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인지적 노력을 줄일 때 필요한 것이 바로 휴리스틱입니다. 비즈니스 현장에서는 휴리스틱이 종종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심리학자들은 이런 휴리스틱으로 인해 인간이 다양한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연구했습니다. 사용자에게 물건이나 콘텐츠를 판매하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의 휴리스틱 오류를 줄이는 작업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사용자는 자신의 휴리스틱이 만들어내는 오류대로 행동하게 되고 이는 사용자 스스로에게 플랫폼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플랫품들이 인공지능 기술을 .. 2024. 3. 18.
애플카 포기하나, 테슬라와 자율주행 1. 애플의 애플카 포기 애플이 10년간 전기차를 연구해 온 스페셜 프로젝트 그룹을 해산할 예정이라며 자율주행 전기차 애플카 개발을 포기한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해왔습니다. 애플의 애플카 프로젝트를 포기한 결정은 기술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애플은 자사의 강점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려 했으나, 경쟁사들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은 기술적인 난제뿐만 아니라 법적인 규제와 안전 문제 등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었습니다. ​ 애플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애플카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대신 자율주행 기술을 다른 분야에 적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애플은 자사의 인공지능 기술과 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홈 제품이나 의료 기기 등의 분야에 .. 2024. 3. 15.
디즈니로 돌아온 밥 아이거의 디즈니플러스 스트리밍 전략 한때 디즈니가 콘텐츠 왕국으로 불리었습니다. 디즈니는 최근 스트리밍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면서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비디오, HBO max 등의 사업자들과 힘겨운 경쟁 중입니다. 2005년부터 2020년까지 15년간 디즈니 CEO를 재임하면서 현재 디즈니 대부분을 완성시킨 인물로 평가받고 있고, 2022년 11월 다시 디즈니로 돌아온 밥 아이거 디즈니 CEO의 최근 새로운 스트리밍 경쟁 전략을 분석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글로벌 OTT 시장에서 디즈니 OTT 경쟁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2023년 4분기 데이터로 보았을 때 글로벌 SVOD 가입자 수 1위는 넷플릭스로 약 2억 6천만 명의 가입자 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디즈니의 대표적인 SVOD 서비스인 디즈니플러스의 2023년 4분기 가입자 수.. 2024. 3. 15.
반응형